▮연보 (1927-1959)
1927. 1. 28 서울시 서대문구 충정로에서 아버지 이용사李用史와 어머니 서용란徐用蘭의 첫째 아들로 태어나다 (음력 1926년 12월 25일).
1932 부모님이 예방골(지금의 세종로)로 이사하면서 무교동에 있는 성결교회에 다니기 시작하다. 이때부터 지금까지 같은 교회를 다니고 있다. 어린이 부흥회에 참석했다가 장난임을 행세해 동생을 때린 것을 뉘우치며 울다.
1935 겨울에 동기 여섯과 함께 전염병인 성홍열을 앓았는데, 병으로 눕자마자 걷잡을 수 없이 바로 위의 누님과 두 남동생이 죽다. 나는 순화병원에 입원하여 한 달 정도 치료를 받다.
1939 수송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보인보통학교에 편입하다.
1940 우리 집안에서 처음으로 기독교를 받아들이신 할머님이 83세를 일기로 돌아가시다.
1942 배재중학교에 입학하다. 입학시험에 여덟 번 떨어지고 아홉 번 만에 붙었다.
1945 배재중학교를 졸업하고(8⋅15 해방으로 4년 만에 강제로 졸업함). 보성전문학교(당시 이름이 경성척식전문학교) 경제학과에 입학하여 한 학기 동안 수업을 듣다.
1945. 8.15 일본왕이 연합국에 무조건 항복함으로써 36년 간의 일제식민지에서 벗어나 광복을 맞이하다. 그러나 미국과 소련의 軍事政府期를 맞아 국토가 분단되다.
1945. 8.15 학제와 학명이 바뀌어 高麗大學校 第一專門部 政法科 (2년제)에 입학하다.
1947.7 고려대학교 제1전문부 정법과를 수료하다.
1947.9-1951.8 고려대학교 法政大學 法律學科에 입학하다.
1948. 4. 3 남한만의 단독선거에 반대하여 봉기한 제주도민을 미군정이 한국 경찰과 군대를 동원하여 학살하고 섬전체를 초토화시킨 “제주 4.3 항쟁”이 벌어지다.
1948. 8. 15 남한만의 단독선거 (1947.11. 24)로 대한민국정부를 수립하다.
1948. 9. 7 反民族行爲特別調査委員會를 위한 반민족행위처벌법이 통과되다. 그러나 반대세력의 방해로 1949년 6월 6일 특별경찰대가 강제 해산당하게 되어 사실상 무력화되다.
1949. 6.26 백범 김구金九가 자택인 경교장에서 암살당하다.
1950-1954 6⋅25전쟁으로 4학년 1학기에 학업을 중단하고 겨울에 제2국민병에 지원하다. 3개월 동안 훈련을 받은 후 대구에 있는 육군본부 통신감실에 배속되었고, 이후에는 통역장교로 복무했다. 陸軍 下士, 二等 中士를 거쳐 大尉 (通譯兵科).
1952. 5.26 이승만이 임시수도 부산에서 내각제를 주장하는 야당 의원 50여명을 헌병대로 연행한 “부산정치파동”이 일어나고, 김성수가 이에 반발하여 부통령직 사표를 내다.
1953 휴전이 되자마자 강원도 2군단 사령부에서 근무하다.
1954. 6 제대하기 전에 김석중金惜中과 결혼하다.
1954. 12. 8 큰 가르침을 주신 아버님이 돌아가시다.
1954. 12 약 1년 5개월간 강원도 화천에서 근무하다 제대하고 복학하다.
1955 고려대에서 나머지 한 학기를 이수하여 졸업하다(졸업장은 1951년 8월로 소급해서 받음)
1955-1956 서울 인창고등학교에서 영어교사를 하고, 밤에는 단국중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치다.
1956. 2 군대에서 만난 친구 James R. Hanson의 도움으로 미국 디파이언스대학 (Defiance College) 경영학과에 학사 편입하다.
1957. 6 디파이언스대학을 졸업하다 (BA).
1957 미시건대학교(University of Michigan) 행정대학원에 입학하다.
1959. 2 미시건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석사학위를 받고 (MPA), 봄에 귀국하다.
1959-1960.3 고려대 연세대 행정학과에서 강의하다.
▮연보 (1960-1969)
1960. 3 고려대 행정학과 전임강사가 되다.
1960. 3.15 이승만 정권이 제 4대 대통령과 제5대 부통령 선거에서 부정선거를 저지르다.
1960. 4.19 3.15 부정선거에 항거하는 학생들의 시위가 이승만 하야라는 혁명으로 이어지다. 이에 앞서 4월 18일 시위에 나선 고대생을 집단폭행하는 유혈참극이 벌어지다.
1960. 4.25 부정선거를 규탄하는 고려대 교수들의 시위에 참여하다.
1960. 5.16 박정희가 군사 쿠데타를 감행하여 청와대를 장악하고 2공화국을 무너뜨리다. 대통령 윤보선이 물러나고 박정희의 장기독재가 시작되다.
1962. 1 공인회계사 등록번호 138호
1962 처음으로 집필한 행정학교재 <행정학>(일조각)을 출간하다.
1962. 6 큰 딸 현아가 태어나다.
1963 한일협정에 반대하는 고려대 교수 시위에 참여하다.
1964. 9 "우리나라에서의 적용을 위한 행정개혁의 이론 모색"을 <법률행정논집>(고려대 행정문제연구소, 제7집)에 발표하다.
1964.7 아들 선표가 태어나다.
1965 한미교육위원단 (풀브라이트위원회) 위원.
1965. 6.22 박정희가 일본과 국교를 정상화하고 일본으로부터 차관을 받기위한 한일기본조약 (한일협정)을 강행하여 비준하다.
1965.8.25 무장 군인이 고려대에 난입했을 때 이에 항의하는 고대 교수회의 항의문을 본관 앞에서 낭독하다.
1966-1970 기독교 저항 잡지 <사상계>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다.
1966. 2 둘째 딸 선아가 태어나다
1967 고려대학교 행정문제연구소 부소장
1967 고려대학교 행정학과 부교수가 되다.
1967 고려대학교 교직원 주택조합이 분양한 쌍문동 택지를 사다.
1967-1968 미국 하버드대학교 옌칭연구소(Yenching Institute)의 초빙학자로 2년간 가 있다. 거기서 박사학위 논문을 위한 연구를 하다.
1969-1970 한국행정학회에서 부회장을 맡다.
▮연보 (1970-1974)
1970. 2 <북한 행정권력의 변질요인에 관한 연구>로 고려대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다.
1970. 3 고려대 행정학과 정교수가 되다.
1970. 9 김대중 씨가 신민당의 대통령 후보로 지명되다.
1970-1973 김재준 목사가 주관하고 약 10명이 참여한 <제3일>의 동인 활동을 하며 김재준 목사가 제목을 붙여준 연재글 "아나로기아"를 30회에 걸쳐 쓰다.
1970.11.13 평화시장 종업원 전태일 씨가 근로조건 개선을 요구하며 분신하다.
1971-1972 한국행정학회 회장을 맡다. 학회장 때에는 장관급 행정개혁조사위원회의 위원(비상위)을 맡다.
1971-1973 고려대 부속 노동문제연구소 소장을 맡다.
1971. 4.27 김대중씨가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패배하나 득표에서 박정희를 바짝 쫓아가다.
1971. 12.6 박정희가 국가비상사태를 선언하다.
1971. 12.27 "국가보위에 관한 특별조치법"이 국회에서 통과되다.
1972. 7.4 "7⋅4조국평화통일원칙"이라는 남북 간의 합의가 이루어지다.
1972.10.17 박정희가 전국에 비상계엄령을 선포하고 일부 헌법 조항의 효력을 정지시키다.
1972.10.27 비상국무회의에서 새 헌법을 의결 공고하다.
1972.11.21 국민투표에서 92.9퍼센트 유권자가 투표하고, 투표자의 91.5퍼센트 찬성으로 유신헌법이 확정되다.
1972.12.27 비상계엄령이 통과되고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들이 서울 잠실체육관에서 대통령을 선출하는 유신헌법이 선포되다.
1972-1973 크리스챤아카데미에서 주최하는 "대화"에 적극 참여하다.
1973. 7. 14 고려대 노동문제연구소 소장으로 있으면서 <민우지> 사건으로 투옥된 연구원 김낙중⋅노중선에게 형이 확정될 때가지 봉급을 계속 주겠다고 주장하여, 정부의 압력으로 8개월간 해직되다.
1974 서울특별시장 앞으로 시정평가교수사임서를 내용증명으로 송부하다. 이후 행정고시위원을 제외하고는 정부에 협조하지 않다.
1974-1979 한국기독자교수협의회 회장을 맡다. 이 협의회의 중앙위원 거의 전원이 정부에 의해 교수직에서 해직되다.
1974-1987 한국기독자교수협의회 인권원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다(1985년에는 인권위원회 부위원장을 역임함).
1974. 2.28 첫 해직 후 8개월 만에 복직하다.
1974. 5.27 중앙성결교회(옛 무교동 성결교회) 장로로 취임하다.
▮연보 (1975-1979)
1975. 4. 30 남베트남이 북베트남에게 무조건 항복하다. 이에 앞서 한국 미국 군대가 철수하다.
1975. 5.13 박정희가 유신헌법의 비방⋅반대를 금하는 긴급조치 9호를 선포하다.
1975. 6. 9-1980. 2.29 박정희가 한국신학대학, 연세대, 고려대에 휴교령을 내리고, 이 세 학교의 교수 열한 명을 해직하면 개교를 허락한다는 조치를 내린다. 이 일로 4년 9개월 간 지속된 해직 생활을 시작하다.
1975. 8.17 문동환, 서남동, 안병무, 이문영, 문익환, 이우정이 돌아가면서 설교하는 갈릴리 교회를 설립하여, 문익환 목사가 창립하고 이해동목사가 당회장으로 있던 한빛교회에서 첫 예배를 보다. 장준하 선생이 산에서 비참하게 작고하다.
1976. 3-1977.12 긴급조치9호 위반, 이른바 "3⋅1민주구국선언 사건" 으로 투옥되어 처음으로 옥살이를 하다. 1년 10개월간 투옥. 박정희의 긴급조치9호가 선포된 지 1년이 가까워오는 삼일절에 가만히 있을 수만은 없다는 논의가 나와 삼일절 유신헌법 폐지를 주장하고자 명동성당에 모였다. 소위 明洞事件 선언문에 서명한 사람은 김대중, 문동환, 문익환, 서남동, 안병무, 윤방웅, 윤보선, 이문영, 이우정, 정일형, 함석헌이다.
1978-1980 함석헌, 김대중, 윤보선을 의장으로 하는 "민주주의와 민족통일을 위한 국민연합"의 집행위원으로 활동하다.
1979 수필집 <겁많은 자의 용기> (새밭)를 출간하다.
1979. 8-1979.12 신민당사에서 농성 중이던 YH무역상사라는 봉제공장 여성 노동자들에게 문동환, 고은 등과 더불어 도움을 준 일이 "국가보위에 관한 특별조치법"을 위반했다고 하여 넉 달 간 옥살이를 하다. YH무역상사의 노조원이었던 김경숙이 싸늘한 주검으로 발견된 이 사건이 이른바 "YH사건"이다.
1979.10.26 유신체제의 박정희가 청와대 연회자리에서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의 총에 맞아 죽다.
1979.12.12 보안사령관 전두환이 대통령 최규하의 승인없이 계엄사령관 정승화 등을 체포하는 군사반란을 저지르다.
▮연보 (1980-1989)
1980.3.1 고려대에 두 번째로 복직하다.
1980 수필집 <겁많은 자의 용기> 판권이 중원문화로 인계되어 출판되다.
1980 <한국행정론>(일조각)을 출간하다.
1980.5.17-1982.12.24 기회주의자 전두환이 김대중 씨를 내란음모자로 몬, 이른바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으로 구속되다. 제1심에서 무기형을 선고받았다가 감형되어 2년 7개월 만에 출옥하다. 국민회의 상임위원들을 비롯한 여러 민주인사들이 수감되어 고문을 받는 등 고초를 겪다.
1980.5-1984.8 5⋅17 쿠데타로 4년 4개월 동안 세 번째 해직 생활을 하다(해직 생활은 모두 세 번에 걸쳐 9년 8개월 동안 이어졌다).
1980.5.18 전두환 등 정치군인들이 민주화를 요구하는 광주시민들을 공수부대를 동원하여 폭력적으로 진압함으로써 많은 시민희생자를 내다. 이를 5.18 광주민주화 운동이라고 부른다.
1983.5.18 김영삼 씨가 전두환 정권에 민주화를 요구하며 단식투쟁에 들어가다.
1983. 5. 31 전두환을 반대하는 동지들이 연대하여 김영삼씨 단식농성에 동조하는 단식에 들어가며 함석헌, 홍남순, 문익환, 예춘호 등과 더불어 "긴급민주선언"을 발표하다. 이 일로 열일곱 번째로 연행되다.
1983 <민주사회를 위하여> (청사)를 출간하다.
1983-1984 4개월간 미국, 캐나다, 일본, 서독 등에 강연 여행을 가다.
1983.11.3 민주화운동에 관한 일본 강연내용이 <아사히신문>의 "사람"이라는 코너에 소개되고, 일본 잡지 <세카이世界> 1984년 2월호에 "한국민의 고난과 희망"이라는 제목으로 게재되다.
1984.9.1 고려대에 세 번째로 4년 4개월 만에 복직하다.
1985. 여름 Christopher Hodgkinson교수 초청으로 캐나다 빅토리아대학교에 교환교수로 가다.
1986. 3. 28 직선제 개헌을 촉구하는 선언문 "현시국에 대한 견해"를 고대 교수 27명과 함께 발표하다.
1986. 수필집 <겁많은 자의 용기> 증보판 (중원문화)을 출간하다.
1987. 1. 14 서울대학교 학생 박종철이 치안본부 대공수사단에서 전기고문과 물고문으로 사망하다. 연세대학교 학생 이한열은 6월 9일 최루탄에 머리를 맞고 쓰러지다.
1987. 4. 13 전두환이 호헌 담화문을 발표하다.
1987. 4. 22 고대교수 30명이 이른바 4⋅13대통령 호헌조치 반대 성명을 발표하다. 이 성명이 "4⋅13" 조치 이후 최초로 나온 선언이었는데, 뒤를 이어 연달아 터진 "지식인의 시국선언"의 기폭제가 되었다.
1987 나를 오래도록 가르치신 어머님이 돌아가시다.
1987. 8 고 유진오 교수의 빈소가 고려대에 설치되자, 이상신, 권창은, 이만우, 윤용 교수 등과 함께 "고려대학은 국정자문위원의 빈소일 수 없다"라고 쓴 피켓을 들고 시위하다. 이 사건이 이른바 "현민 빈소 사건"이다.
1988 화갑기념논문집 <시대와 지성> (정규복, 김우창 외) (민음사)이 출간되다.
▮연보 (1990-1999)
1990. 가을 영국의 리버풀대학교에 교환교수로 가다.
1990. 9 3김 퇴진론을 주장하는 김동길 교수를 반대하는 글 "온갖 박해 속에 지조지킨 金大中 악한 통치세력 淨化할 인물이다"를 <週刊朝鮮>에 게재하다.
1991. 봄 러시아의 모스크바대학교와 레닌그라드대학교를 방문하다.
1991 <자전적 행정학> (실천문학)을 출간하다.
1992 <작은 정부를 위한 관료제> (이문영, 이종범 외) (법문사).
1992. 2 32년간 봉직한 고려대학교에서 정년퇴직하다.
1992-1997 경기대학교 대학원 교수.
1992-2014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1992.12.19 12월 18일에 치러진 제 14대 대통령 선거에서 낙선한 김대중이 정계은퇴를 선언하고 영국으로 출국하다.
1993 <재무행정: 예산과 재정행정> (윤성식과 공저) (학현사).
1993.8. 3-1996.11. 3 경기대학교 (서울 캠퍼스) 대학원장.
1994.11-1997.1. 26 경기대학교 (서울캠퍼스) 초대 건축대학원장.
1995. 7.18 아태재단을 설립한 김대중이 정계복귀를 선언하고 새정치국민회의를 창당하다.
1996 <논어⋅맹자와 행정학> (나남)을 출간하다.
1997. 4 중앙성결교회 장로 시무를 마치고, 원로장로가 되다.
1997. 3-2005. 2 경기대학교 석좌교수로 재직하다.
1997.12.13 <논어⋅맹자와 행정학>으로 한국행정학회 제5차 학술상 수상.
1998. 2.25 김대중 제 15대 대통령 취임하다.
1998.2-1999. 10 아시아태평양평화재단 이사장을 맡다.
1998. 4 정일형 이태영 박사 기념사업회의 제 2회 자유민주상을 수상하다.
1998. 7-2010.2 사단법인 함석헌기념사업회 이사장을 맡다.
1999. 3-2000.6 학교법인 덕성학원 이사장을 역임하다.
1999 배재학당총동창회의 자랑스런 배재인상 수상.
▮연보 (2000-2014)
2000 < 논어⋅맹자와 행정학>(베이징 동방출판사) 중국어판이 출간되다.
2001 <인간⋅종교⋅국가--미국행정, 청교도 정신, 그리고 마르틴 루터의 95개조>(나남)를 출간하다.
2001. 9. 11 이슬람단체가 미국 민간항공기를 납치하여 뉴욕의 세계무역센터 등에 출돌하는 자살테러를 자행하여 3천여명의 인명피해를 내다.
2003 <재무행정론> (윤성식과 공저) (법문사)
2003. 1.21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에 연루되어 중형을 받았던 김대중 등 18명이 재심에서 무죄를 선고받다.
2003. 2.25 노무현 제 16대 대통령 취임하다.
2003. 4.2 민주화운동 관련 자료 1만여점을 고려대학교에 기증하다. 관련기사(고대신문 한겨레신문 동아일보)
2003. 7. 3 "대통령 긴급조치 9호" 위반 혐의로 실형을 받은 김대중 등 16명이 재심에서 무죄를 선고받다.
2006 <협력형 통치--원효⋅율곡⋅함석헌⋅김구를 중심으로>(열린책들)를 출간하다.
2007. 2.20 나의 동반자 석중이 세상을 떠나다.
2007. 5.23 노무현 전대통령 (1946.9.1-2009.5.23)이 붕어하다.
2007. 8.18 김대중 전대통령 (1924.1.6-2009.8.18)이 붕어하다.
2011 <3⋅1운동에서 본 행정학> (고려대학교 출판부)을 출간하다.
2014. 1. 16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에서 세상을 떠나다. 향년 88세 (음력 2013년 12월 16일)
.